2016년 동남아시아 축구 연맹 선수권 대회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2016년 동남아시아 축구 연맹 선수권 대회는 미얀마와 필리핀에서 공동 개최되었으며, 태국이 우승을 차지했다. 이 대회는 국제 축구 연맹(FIFA)의 A매치로 인증받았으며, 8개국이 참가하여 조별 리그와 결선 토너먼트를 치렀다. 태국은 결승에서 인도네시아를 꺾고 2연패를 달성했으며, 차나팁 송크라신이 최우수 선수, 티라실 당다가 득점왕을 차지했다. 대회 중 판정 논란, 레이저 포인터 사용, 선수 퇴장, 팬들의 발연통 투척 등의 사건이 발생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16년 미얀마 - 2016년 차우크 지진
2016년 미얀마 차우크에서 발생한 지진으로 4명이 사망하고 바간의 파고다 약 200기가 손상되었으며, 같은 날 이탈리아 중부에서도 대규모 지진이 발생했다. - 2016년 미얀마 - 미얀마의 로힝야족 박해
미얀마의 로힝야족 박해는 로힝야족이 미얀마에서 겪는 인권 침해와 탄압을 의미하며, 이들은 시민권 거부, 이동 제한 등의 차별과 박해를 받아왔고, 2010년대 후반 박해가 심화되어 대규모 난민이 발생하고 국제 사회의 비판을 받고 있다. - 미얀마에서 개최된 국제 축구 대회 - 2011년 AFC 프레지던트컵
2011년 AFC 프레지던트컵은 아시아 축구 연맹 소속 클럽들이 참가하는 클럽 축구 대회로, 중화민국 가오슝시에서 모든 경기가 개최되었으며 타이완 파워 컴퍼니 FC가 우승했고, 팔레스타인 클럽이 처음 참가, 최우수 선수상은 천포량, 득점왕은 허밍찬이 수상했다. - 미얀마에서 개최된 국제 축구 대회 - 2010년 AFC 프레지던트컵
2010년 AFC 프레지던트컵은 AFC가 주관하여 중국에서 개최된 국제 클럽 축구 대회로, AFC 회원국 내 상위 리그에 속하지 않은 12개 팀이 참가하여 레가르-타다즈가 우승하였다. - 필리핀에서 개최된 국제 축구 대회 - 1970년 AFC 청소년 축구 선수권 대회
1970년 AFC 청소년 축구 선수권 대회는 필리핀에서 개최되었으며, 미얀마가 인도네시아를 꺾고 우승을 차지했고, 대한민국은 3·4위전에서 일본을 이겼다. - 필리핀에서 개최된 국제 축구 대회 - 1954년 아시안 게임 축구
1954년 아시안 게임 축구는 필리핀 마닐라에서 13개국이 참가한 가운데 진행되어 중화민국이 금메달, 대한민국이 은메달, 버마가 동메달을 획득했다.
2016년 동남아시아 축구 연맹 선수권 대회 - [국제 축구 대회 정보]에 관한 문서 | |
---|---|
대회 정보 | |
대회 명칭 | AFF 챔피언십 |
연도 | 2016년 |
기타 명칭 | 해당 없음 |
![]() | |
개최국 | 미얀마, 필리핀 (조별 리그) |
개최 기간 | 2016년 11월 19일 – 2016년 12월 17일 |
참가 팀 수 | 8 |
하위 연맹 | 1 |
경기장 수 | 4 |
도시 수 | 4 |
우승 | 태국 (5번째 우승) |
준우승 | 인도네시아 |
총 경기 수 | 18 |
총 득점 수 | 50 |
총 관중 수 | 295112 |
최다 득점자 | 티라신 댕다 (6골) |
최우수 선수 | 차나팁 송크라신 |
이전 시즌 | 2014 |
다음 시즌 | 2018 |
기타 정보 | |
스폰서 | 스즈키 |
FIFA 랭킹 포인트 | AFF 챔피언십 토너먼트에 FIFA 랭킹 포인트 부여 시작 |
2. 대회 개요
2016년 동남아시아 축구 연맹 선수권 대회는 미얀마와 필리핀에서 공동 개최로 조별 리그가 진행되었다.[61] 결승 토너먼트는 준결승에 진출한 4개국에서 열렸다. 지난 대회 우승팀인 태국이 2연패를 달성했다.
이 대회는 국제 축구 연맹으로부터 국제 A매치로 인증받았다.[62]
2. 1. 대회 명칭 및 슬로건
2. 2. 참가국
2016년 동남아시아 축구 연맹 선수권 대회에는 총 8개국이 참가했다. 미얀마, 필리핀, 태국, 말레이시아, 싱가포르, 베트남, 인도네시아는 본선에 자동 진출했고, 캄보디아는 예선을 통과하여 합류했다.[21]본선 조 추첨은 2016년 8월 2일에 진행되었다. 공동 개최국인 미얀마와 필리핀은 포트 1에 자동 배정되었고, 2014년 AFF 스즈키컵 우승 팀인 태국은 포트 2에 배정되었다. 국제 축구 연맹(FIFA)의 자격 정지 처분이 해제된 인도네시아는 포트 4에 배정되었다.[22]
참가국들의 역대 최고 성적은 다음과 같다.
팀 | 참가 횟수 | 이전 최고 성적 |
---|---|---|
11회 | 4위 (2004년) | |
10회 | 준결승 (2010년, 2012년, 2014년) | |
11회 | 우승 (1996년, 2000년, 2002년, 2014년) | |
11회 | 우승 (2010년) | |
11회 | 우승 (2008년) | |
11회 | 준우승 (2000년, 2002년, 2004년, 2010년) | |
11회 | 우승 (1998년, 2004년, 2007년, 2012년) | |
6회 | 조별 리그 (1996년, 2000년, 2002년, 2004년, 2008년) |
2. 3. 대회 방식
2016년 동남아시아 축구 선수권 대회의 조 추첨은 2016년 8월 2일에 진행되었다.[21] FIFA의 자격 정지 처분을 받은 인도네시아가 최하위 포트에 배정되었다.[22] 조 추첨 당시에는 캄보디아가 예선을 통과하여 여덟 번째 진출팀으로 확정되지 않았다.조 추첨 결과는 다음과 같다.[71]
주최국인 필리핀과 미얀마는 포트 1에, 인도네시아는 FIFA 징계 해제로 인해 자동으로 최하위로 분류되었다.[72]
각 조의 순위는 다음 순서대로 결정된다.
# 승점
# 득실차
# 득점
위 세 가지가 같은 팀이 있을 경우, 다음 우선순위로 순위를 결정한다.
# 승자승
# 두 팀이 최종전에서 대결하는 경우 승부차기
# 추첨
2. 4. 개최국 선정 과정
2013년 12월 21일 네피도에서 열린 제11차 동남아시아 축구 연맹 이사회에서 미얀마와 필리핀이 2016년 동남아시아 축구 연맹 선수권 대회의 본선 조별 리그 공동 개최국으로 선정되었다. 이는 두 국가 모두 해당 대회의 조별 리그를 처음으로 개최하는 것이다.[8][63]필리핀 축구 연맹(PFF)은 2016년 2월에 리잘 기념 경기장의 문제와 다른 경기장 확보 문제로 인해 조별 리그 공동 개최국 지위를 처음에 반납했다.[9][64] 대체 개최국은 2016년 3월 12일에 발표될 예정이었으며,[10] 말레이시아, 2014년 공동 개최국인 싱가포르, 베트남이 신청했거나 신청할 예정이라고 발표했다.[11][65] 필리핀 또한 이후 개최권을 유지하기 위해 항소할 것이라고 발표했다.[12]
3월 7일, AFF는 필리핀의 항소를 받아들였으며 말레이시아는 '대기 개최국'으로 지정되었고, 베트남과 싱가포르는 입찰을 철회했다.[13] 필리핀은 필리핀 스포츠 경기장(PSS)을 경기장으로 사용하는 계약을 확보하기 위해 3월 11일까지 기한을 받았다.[13] 리잘 기념 경기장은 최종 조별 리그 동시 경기의 보조 경기장으로 사용될 예정이다.[14] 3월 12일, 베트남 다낭에서 열린 AFF 이사회 회의를 통해 필리핀이 개최권을 유지하는 것이 확인되었다. PFF는 PSS와의 계약서와 필리핀 스포츠 위원회의 보증서를 AFF에 제시할 수 있었다.[15][67]
2. 5. 경기장
2016년 동남아시아 축구 연맹 선수권 대회는 동남아시아 6개국에서 개최되었다. 결승전은 방콕의 라자망갈라 국립경기장과 보고르의 파칸사리 경기장에서 열렸다.[16][68] 준결승전은 하노이의 미딘 국립경기장과 양곤의 투우나 스타디움에서 개최되었다. 조별 리그는 네피도의 우나 테익디 스타디움, 보카우에의 필리핀 스포츠 스타디움, 마닐라의 리잘 기념 경기장에서 진행되었다.방콕 | 보고르 | 하노이 | 양곤 | ||||||||
---|---|---|---|---|---|---|---|---|---|---|---|
라자망갈라 국립경기장 | 파칸사리 경기장 | 미딘 국립경기장 | 투우나 스타디움[16] | ||||||||
수용 인원: 49,722 | 수용 인원: 30,000 | 수용 인원: 40,192 | 수용 인원: 32,000 | ||||||||
![]() | ![]() | ||||||||||
네피도 | 보카우에 | 마닐라 | |||||||||
우나 테익디 스타디움[16] | 필리핀 스포츠 스타디움 | 리잘 기념 경기장 | |||||||||
수용 인원: 30,000 | 수용 인원: 20,000 | 수용 인원: 12,873 | |||||||||
![]() | ![]() |
2016년 동남아시아 축구 연맹 선수권 대회의 예선은 2016년 10월 15일부터 10월 21일까지 캄보디아 프놈펜에서 진행되었다.[17] 미얀마와 필리핀은 개최국 자격으로 자동 진출했다.[18]
;순위 결정 방식
3. 예선
팀 승점 경기 승 무 패 득 실 득실차 캄보디아/កម្ពុជាkh 9 3 3 0 0 8 3 +5 라오스/ປະເທດລາວlo 6 3 2 0 1 7 6 +1 브루나이/برونيms 3 3 1 0 2 5 8 -3 동티모르/Timór Lorosa'etet 0 3 0 0 3 4 7 -3
2016년 10월 15일 브루나이는 동티모르를 2-1로, 캄보디아는 라오스를 2-1로 이겼다. 10월 18일에는 동티모르가 라오스에 1-2로 패하고, 브루나이는 캄보디아에 0-3으로 패했다. 10월 21일 라오스는 브루나이를 4-3으로 이겼고, 캄보디아는 동티모르를 3-2로 이기며 3전 전승으로 예선을 통과하였다.
인도네시아 축구 협회는 국제축구연맹(FIFA)으로부터 자격 정지 처분을 받았으나, 제66회 FIFA 총회에서 징계가 해제되어[20] 대회에 참가할 수 있었다.[70]
4. 조별 리그
각 조의 순위는 다음과 같은 순서로 결정된다.
# 모든 조별 경기에서 얻은 승점
# 모든 조별 경기에서의 골득실차
# 모든 조별 경기에서 넣은 골 수
위 세 가지 기준에 따라 두 팀 이상이 동률일 경우, 다음 순서로 순위를 결정한다.
# 해당 팀 간의 직접적인 경기 결과
# 두 팀이 동률이고 조별 예선 마지막 라운드에서 만났을 경우, 승부차기
# 조직위원회의 추첨배경색 bgcolor=#ccffcc style="width:20px;"| 상위 2개 팀이 준결승 진출
; A조
2016년 동남아시아 축구 연맹 선수권 대회 A조의 모든 경기는 필리핀에서 현지 시간(UTC+8)으로 진행되었다. 조별 리그 순위 결정 방식에 따라 순위가 결정되었다.
2016년 11월 19일, 태국은 인도네시아를 4-2로 꺾었다. 같은 날 필리핀과 싱가포르는 0-0 무승부를 기록했다. 2016년 11월 22일에는 태국이 싱가포르를 1-0으로 이겼고, 인도네시아와 필리핀은 2-2로 비겼다. 2016년 11월 25일, 싱가포르는 인도네시아에 1-2로 패했고, 필리핀은 태국에 0-1로 졌다.
결과적으로 태국과 인도네시아가 준결승에 진출했다.
; B조
B조의 경기들은 모두 미얀마에서 현지 시간(UTC+06:30) 기준으로 치러졌다.
2016년 11월 20일에는 말레이시아와 캄보디아의 경기에서 3-2로 말레이시아가, 미얀마와 베트남의 경기에서 2-1로 베트남이 승리했다.
2016년 11월 23일에는 말레이시아와 베트남의 경기에서 1-0으로 베트남이, 캄보디아와 미얀마의 경기에서 3-1로 미얀마가 승리했다.
2016년 11월 26일에는 베트남과 캄보디아의 경기에서 2-1로 베트남이, 미얀마와 말레이시아의 경기에서 1-0으로 미얀마가 승리했다.
4. 1. A조
2016년 동남아시아 축구 연맹 선수권 대회 A조의 모든 경기는 필리핀에서 현지 시간(UTC+8)으로 진행되었다. 조별 리그 순위 결정 방식에 따라 순위가 결정되었다.
2016년 11월 19일, 태국은 인도네시아를 4-2로 꺾었다. 같은 날 필리핀과 싱가포르는 0-0 무승부를 기록했다. 11월 22일에는 태국이 싱가포르를 1-0으로 이겼고, 인도네시아와 필리핀은 2-2로 비겼다. 11월 25일, 싱가포르는 인도네시아에 1-2로 패했고, 필리핀은 태국에 0-1로 졌다.
결과적으로 태국과 인도네시아가 준결승에 진출했다.
4. 2. B조
B조의 경기들은 모두 미얀마에서 현지 시간(UTC+06:30) 기준으로 치러졌다.
2016년 11월 20일에는 말레이시아와 캄보디아의 경기에서 3-2로 말레이시아가, 미얀마와 베트남의 경기에서 2-1로 베트남이 승리했다.
2016년 11월 23일에는 말레이시아와 베트남의 경기에서 1-0으로 베트남이, 캄보디아와 미얀마의 경기에서 3-1로 미얀마가 승리했다.
2016년 11월 26일에는 베트남과 캄보디아의 경기에서 2-1로 베트남이, 미얀마와 말레이시아의 경기에서 1-0으로 미얀마가 승리했다.
5. 결선 토너먼트
준결승 | 1차전 | 2차전 | 합계 |
---|---|---|---|
인도네시아}} {{aet/Indonesiaid | 2 - 1 | 2 - 2 (연장) | 4 - 3 |
베트남/Việt Namvi | |||
미얀마/Myanmarmy | 0 - 2 | 0 - 4 | 0 - 6 |
태국/ประเทศไทยth |
2016년 12월 3일 인도네시아와 베트남의 1차전 경기는 보고르, 파칸사리 스타디움에서 열렸으며, 인도네시아가 2-1로 승리했다. 2016년 12월 7일 하노이 미딘 국립경기장에서 열린 2차전 경기는 2-2 무승부로 끝났으며, 연장전 결과 인도네시아가 합계 4-3으로 결승전에 진출했다.
2016년 12월 4일 미얀마와 태국의 1차전 경기는 양곤 투운나 스타디움에서 열렸으며, 태국이 2-0으로 승리했다. 2016년 12월 8일 방콕 라차망칼라 스타디움에서 열린 2차전 경기에서는 태국이 4-0으로 승리하여, 합계 6-0으로 태국이 결승전에 진출했다.
결승 | 1차전 | 2차전 | 합계 |
---|---|---|---|
인도네시아/Indonesiaid | 2 - 1 | 0 - 2 | 2 - 3 |
태국/ประเทศไทยth |
2016년 12월 14일, 보고르 파칸사리 스타디움에서 열린 1차전에서는 인도네시아가 태국을 2-1로 이겼다. 인도네시아는 리즈키 포라와 한사무 야마가 득점하였고, 태국은 티라실 당다가 득점하였다.
2016년 12월 17일, 방콕 라차망칼라 스타디움에서 열린 2차전에서는 태국이 인도네시아를 2-0으로 이겼다. 태국의 시로치 챗통이 두 골을 기록했다.
결과적으로 '''태국'''이 합계 3 – 2로 우승을 차지했다.
5. 1. 준결승전
(연장)}}||0 - 6|''''''||0 - 2|0 - 4}}
2016년 12월 3일 인도네시아와 베트남의 1차전 경기는 보고르, 파칸사리 스타디움에서 열렸으며, 인도네시아가 2-1로 승리했다. 2016년 12월 7일 하노이 미딘 국립경기장에서 열린 2차전 경기는 2-2 무승부로 끝났으며, 연장전 결과 인도네시아가 합계 4-3으로 결승전에 진출했다.
2016년 12월 4일 미얀마와 태국의 1차전 경기는 양곤 투운나 스타디움에서 열렸으며, 태국이 2-0으로 승리했다. 2016년 12월 8일 방콕 라차망칼라 스타디움에서 열린 2차전 경기에서는 태국이 4-0으로 승리하여, 합계 6-0으로 태국이 결승전에 진출했다.
5. 2. 결승전
||2 - 3|''''''||2 - 1|0 - 2}}2016년 12월 14일, 보고르 파칸사리 스타디움에서 열린 1차전에서는 인도네시아가 태국을 2-1로 이겼다. 인도네시아는 리즈키 포라와 한사무 야마가 득점하였고, 태국은 티라실 당다가 득점하였다.
2016년 12월 17일, 방콕 라차망칼라 스타디움에서 열린 2차전에서는 태국이 인도네시아를 2-0으로 이겼다. 태국의 시로치 챗통이 두 골을 기록했다.
결과적으로 '''태국'''이 합계 3 – 2로 우승을 차지했다.
6. 우승
태국
5번째 우승